타고(tago.kr)가 BYD 아토3 전기차에 대해서 저렴한 가격으로 렌터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025년 BYD 아토3 (BYD ATTO 3) 모델입니다. 아토3는 글로벌 전기차 기업인 BYD가 제작한 소형 전기 SUV 모델입니다. 전 세계에서 100만 대 이상 판매된 차량으로, BYD를 대표하는 모델입니다. 스포티한 외관 디자인과 함께 넉넉한 실내공간, 그리고 효율적인 주행 성능을 갖췄습니다. 비야디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플랫폼 3.0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BYD 아토3 (화이트)
BYD 아토3 전면
BYD 아토3 후면
BYD 아토3 좌측면
BYD 아토3 우측면
BYD 아토3 트렁크
BYD 아토3 보닛
BYD 아토3 운전석 도어트림
BYD 아토3 조수석 도어트림
BYD 아토3 바퀴
BYD 아토3 바퀴
BYD 아토3 실외 V2L
BYD 아토3 충전구
BYD 아토3 인테리어
BYD 아토3 운전석
BYD 아토3 운전대
BYD 아토3 앞좌석
BYD 아토3 앞좌석
BYD 아토3 뒷좌석
BYD 아토3 콘솔박스
BYD 아토3 기어레버
BYD 아토3 에어벤트
BYD 아토3 도어그립
BYD 아토3 썬루프
BYD 아토3 12.8인치 터치스크린
BYD 아토3 내비게이션
BYD 아토3 주차보조
BYD 아토3 주차보조우아한 디자인
1회 충전으로 321km
저렴한 유지비
| 차종 | BYD 아토3 스탠다드 |
BYD 아토3 플러스 |
|---|---|---|
| 차량 유형 | 전륜구동 SUV | 전륜구동 SUV |
| 주행거리(복합) | 321km | 321km |
| 전장 | 4,455mm | 4,455mm |
| 전폭 | 1,875mm | 1,875mm |
| 전고 | 1,615mm | 1,615mm |
| 축거 | 2,720mm | 2,720mm |
| 공차중량 | 1,750kg | 1,750kg |
| 배터리 종류 | 블레이드 LFP 배터리 | 블레이드 LFP 배터리 |
| 배터리 용량 | 60.48kWh | 60.48kWh |
| 최고출력 | 150kW | 150kW |
| 최대토크 | 310N·m | 310N·m |
| 제로백 | 7.3초 | 7.3초 |
| 복합전비 | 4.7km/kWh | 4.7km/kWh |
| 공차중량 | 1,750kg | 1,750kg |
| 통풍시트 | - | 운전석/동승석 통풍시트 |
| 전동 테일게이트 | - | O |
| 공기 정화 시스템 | - | 공기 정화 시스템 (PM 2.5 필터) |
| 앰비언트 라이트 | 도어 그립 단일 색상 앰비언트 라이트 |
도어 그립 멀티 색상 앰비언트 라이트 |
| 스피커 | 일반 사운드 시스템 (6 스피커) |
Dirac HD sound® 시스템 (8 스피커) |
※ 위 내용은 공식 제원이며, 실제 주행 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차종 | BYD 아토3 | 기아 EV3 | 코란도 EV |
|---|---|---|---|
| 기준 가격 | 3,330만원 | 3,995만원 | 4,245만원 |
| 차량 유형 | 전륜구동 SUV | 전륜구동 SUV | 전륜구동 SUV |
| 주행거리 | 321km | 501km | 401km |
| 배터리 종류 | 블레이드 LFP 배터리 | NCM 배터리 | 리튬이온 배터리 |
| 배터리 용량 | 60.48kWh | 58.3kWh | 73.4kWh |
| 복합전비 | 4.7km/kWh | 5.4km/kWh | 4.8km/kWh |
| 전장 | 4,455mm | 4,300mm | 4,465mm |
| 전폭 | 1,875mm | 1,850mm | 1,870mm |
| 전고 | 1,615mm | 1,560mm | 1,640mm |
| 축거 | 2,720mm | 2,680mm | 2,675mm |
| 공차중량 | 1,750kg | 1,750kg | 1,905kg |
※ 위 내용은 공식 제원이며, 실제 주행 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AC단상 (5핀)
한국의 완속충전기 표준
220V 교류(AC) 전원을 사용
DC콤보 (타입1)
한국과 미국의 급속충전기 표준
100kW 이상 직류 고속충전을 지원
슈퍼차저
테슬라가 만든 급속충전기
약 40분에 80% 정도 초고속 충전
AC3상 (7핀)
르노가 만든 급속/완속 충전기
직류(DC)가 아닌 교류(AC)를 사용
DC콤보 (타입2)
미국과 유럽에서 일부 사용
직류(DC)를 사용하는 급속충전기
차데모
일본에서 만든 급속충전기
직류 사용. 완속충전 플러그 별도